1.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
1) 데이터베이스
: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
2) 관계형 데이터베이스
: 모든 데이터를 2차원 테이블 형태로 표현한 뒤 각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것
3) TABLE
: 데이터베이스의 형태
컬럼 | 직업 | 취미 |
로우 | 학생 | 게임 |
로우 | 약사 | 영화감상 |
- 컬럼 : 세로열 = 항목 = 인스턴스
- 로우 : 가로열 = 각각의 데이터 속성
4) SQL (Structured Query Language)
: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
2. SELECT문
1) SELECT
: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할 떄 사용하는 명령어
2) Alias
: 테이블이나 컬럼명에 붙이는 별도의 별칭으로 테이블명을 줄이기 위해 사용
eX) SELECT BAND.BAND_NAME > SELECT B.BAND_NAME
3) 산술 연산자
연산자 | 의미 | 우선순위 |
() | 우선순위 조정 | 1 |
* | 곱하기 | 2 |
/ | 나누기 | |
+ | 더하기 | 3 |
- | 빼기 |
4) 합성 연산자
: 문자와 문자를 연결할때 사용하는 연산자 - |'S'| |'Q'| |'L'|
3. 함수
1) 문자함수
- CHAR : 128개의 문자를 숫자로 표현할 수 있도록 정의한 코드
- LOWER :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
- UPPER : 대문자로 변환
- LTRIM : 왼쪽 공백 혹은 특정 문자열 한글자씩 제거 - ('블랙핑크', '블랙') > 핑크
- RTRIM : 오른쪽 공백 혹은 특정 문자열 한글자씩 제거 - ('블랙핑크', '핑크') > 블랙
- TRIM : 옵션이 없을 경우 왼/오 공백 제거, LEADING/TRAILING/BOTH에 따라 한 글자씩 특정 문자와 비교하여 삭제 (한글자만 지정 가능)
- SUBSTAR : 원하는 부분만 잘라서 반환 - ('블랙핑크제니', 3, 2) > 핑크
- LENGTH : 문자열 길이를 반환
- REPLACE : 문자열 변경 - ('블랙핑크제니', '제니', '지수') > 블랙핑크지수
2) 숫자함수
- ABS : 절대값 반환
- SIGN : 수의 부호 반환 - 양수면 1, 음수면 -1, 0이면 0
- ROUND : 지정된 소수점 자리수까지 반올림, 기본값은 0으로 반올림 정수 반환, 자리수가 음수일 경우 지정된 정수부 반올림
- CEIL : 소수점 이하의 수를 올림한 정수를 반환 (무조건 정수로 반환)
- TRUNC : 지정된 소수점 자리수까지 버림, 기본값은 0으로 정수 반환, 자리수가 음수일 경우 지정된 정수부에서 버림
- FLOOR : 소수점 이하의 수를 버림한 정수 반환 (무조건 정수로 반환)
- MOD : 수1을 수2로 나눈 나머지 반환 *두 인자값이 0이면 첫번째 인자값 반환, 두 인자값이 모두 음수면 나머지도 음수
3) 형변환 함수
명시적 형변환 : 문자열 > 숫자형 / 수>문자형 / 문자형 > 날짜형 등 변환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유형 반환
암시적 형변환 : 변환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내부적으로 형변환을 수행 - 데이터 성능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
4) NULL 관련 함수
- NVL(인수1, 인수2) : 인수1의 값이 NULL일 경우 인수 2를 반환, NULL이 아닐 경우 인수1을 반환
- NULLIF(인수1, 인수2) : 인수1과 인수2가 같으면 NULL, 같지 않다면 인수1 반환
- COALESCE(인수1, 인수2, 인수3) : NULL이 아닌 최초의 인수 반환
'데이터 이야기 > 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데이터분석 - SQL ] #3-1. JOIN / STANDARD JOIN (0) | 2022.11.03 |
---|---|
[데이터분석 - SQL ] #2-2. WHERE / GROUP BY / HAVING / ORDER BY절 (0) | 2022.11.03 |
[데이터분석 - SQL ] #1-2. 성능 데이터 모델링 (0) | 2022.11.02 |
[데이터분석 - SQL ] #1-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(0) | 2022.11.02 |
[데이터분석 - SQL ] #0. 환경 설정 (ORACLE 환경세팅) (0) | 2022.10.18 |